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41

인테리어 디테일 2B 방음디테일 B 소리 전달 제어 방식 1. 강성 제어 - 유연한 재료사용 소리의 전달은 주로 파티션의 질량에 의해 지연되지만 파티션의 강성도 중요하다. 평방 미터당 동일한 무게의 두 파티션이 주어지면 강성이 낮은 파티션이 다른 파티션보다 소음제어 성능이 좋다. 탄력적 인 소재를 사용한 벽판넬은 소리가 표면에 전달 된 다음 다른 재료를 통해 전달되도록하는 대신 소리를 감쇠시킬 수 있다. 2. 질량 제어 - 밀도 높은 재료사용 소리 에너지가 실내 공간에서 들리려면 물질을 관통해 전달되어야하므로 소리가 통과하려면 물질의 관성을 극복해야하기 때문에 재료가 두껍거나 무거울수록 밀도가 높아지므로 전달되는 소리가 줄어 든다. 예를 들어, 얇은 유리 조각은 석고벽 파티션만큼 소리 전달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벽 판넬의 이중 레이어가 단.. 2021. 5. 17.
인테리어 디테일 2A 방음디테일 A 소음 제어 방식 1. 소음원 제거 또는 격리시킨다. 소음원를 제거하거나 제어하는 것은 실내의 소음을 제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공간 외부의 고정 된 시스템이나 실내의 일상적인 활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항상 제어가 가능한 것은 아니며 단일 소음원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소음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종종 밀폐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2. 반사 표면의 위치를 제어한다. 유리와 같이 반사율이 높은 표면은 소음을 다른 영역으로 반사 할 수 있으며, 포인트로 집중된 소음의 경우 입사각은 반사각과 같으므로 입사 각도의 형상을 이용하여 마감 된 표면의 방향을 추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3. 흡음성 재료를 추가한다. 공간 내에서 소음을 제어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흡음성 재료.. 2021. 5. 16.
인테리어 디테일 0C 지속가능한 디테일 1. 재활용을 위해 쉽게 분해할 수 있는 디테일이어야 한다. 2. 교체가 필요한 디테일인 경우에는 향후 교체할 제품을 구할 수 있는지 단종여부와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3. 상황에 따라서 감추거나 노출하는 변경이 필요한 디테일인 경우 은폐와 노출의 전환을 하는 조작이 간편해야 한다. 4. 수분에 대해 내수성 및 항균기능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하며, 여러 재료가 조합된 디테일의 경우 수분침투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5. 동일한 구성 요소를 여러번 사용할 수 있는 디테일이어야 한다. 6. 사용된 재료를 다른 재료와 호환가능한 디테일이어야 한다. 7. 무독성 요소로 조합된 디테일이어야 한다. 2021. 5. 16.
인테리어 디테일 0A 디테일 기초정보 인간 과 객체 맞춤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과 디테일링 매개 변수 중 하나는 인간의 기본 크기와 움직임 능력 또는 환경에 따른 물체에 반응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인간이 실내 공간의 주요 사용자이므로 실내 공간에서의 동작 범위에 따른 치수가 실내 디자인 디테일의 기본 정보가 된다. 인간이 사용할 수 있도록 디테일을 설계 할 때는 일반 가구, 해당 집기, 작업 표면 , 좌석, 문, 및 계단과 같은 실내 공간에 대한 인체 치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인간의 평균 크기를 기준으로 이러한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많은 치수 표준이 개발되었지만, 대부분은 현재상태를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면대와 주방 조리대의 표준 높이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너무 낮다. 따라서, 인간 외.. 2021.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