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전달 제어 방식
1. 강성 제어 - 유연한 재료사용
소리의 전달은 주로 파티션의 질량에 의해 지연되지만 파티션의 강성도 중요하다. 평방 미터당 동일한 무게의 두 파티션이 주어지면 강성이 낮은 파티션이 다른 파티션보다 소음제어 성능이 좋다. 탄력적 인 소재를 사용한 벽판넬은 소리가 표면에 전달 된 다음 다른 재료를 통해 전달되도록하는 대신 소리를 감쇠시킬 수 있다.
2. 질량 제어 - 밀도 높은 재료사용
소리 에너지가 실내 공간에서 들리려면 물질을 관통해 전달되어야하므로 소리가 통과하려면 물질의 관성을 극복해야하기 때문에 재료가 두껍거나 무거울수록 밀도가 높아지므로 전달되는 소리가 줄어 든다. 예를 들어, 얇은 유리 조각은 석고벽 파티션만큼 소리 전달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벽 판넬의 이중 레이어가 단일 레이어보다 소음전달을 더욱 감소시킨다.
3. 벽체 속 빈 공간에 흡음재 삽입
소리가 한 층의 재료를 통해 칸막이 또는 천장 속 빈 공간으로 전달됨에 따라 공기를 움직이게 하여 두 번째 층을 진동시켜 소리 에너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빈 공간에 흡음재를 채워넣음으로써 소리는 더욱 감소된다.
4. 출입구 틈새 제어
벽 자체의 구성 외에도 소음 전달 체계에서 다른 변수중에 출입구 틈새의 봉인구조도 중요하다. 바닥, 천장 및 교차 벽의 모서리는 코킹되어야하며 전기 콘센트를 연속해서 배치하지 않게 별도의 벽체 공간에 엇갈리게 배치하고 코킹해야한다. 파이프, 덕트 및 유사한 관통 부는 공기 중 소음 및 기계적 진동 모두에 대한 경로를 제공하며 장벽에 단단히 연결되어서는 안되며, 덕트, 파이프 및 칸막이 사이의 모든 틈은 밀봉해야한다. 또한, 문 및 유리창과 같은 일반적인 출입구는 가장자리 주변을 밀봉하고, 내부 유리창은 소리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리창과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리창을 탄력있는 개스킷에 설치해야한다. 그리고, 여러 겹으로 제작한 유리는 유리 사이 중간층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 감쇠 효과를 위한 별도의 추가 완충요소를 적용해야 한다.
'인테리어 디테일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디테일 3A 방수 디테일 A (1) | 2021.05.17 |
---|---|
인테리어 디테일 2C 방음 디테일 C (0) | 2021.05.17 |
인테리어 디테일 2A 방음디테일 A (0) | 2021.05.16 |
인테리어 디테일 0C 지속가능한 디테일 (0) | 2021.05.16 |
인테리어 디테일 0B 안전을 위한 디테일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