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41 인테리어 디테일 3H 공간분할- 벽체 08 칸막이 실내공간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기본 구조물인 벽체외에 실내 환경에서 여러 기능을 하는 칸막이 요소가 있다. 칸막이는 바닥부터 천정까지 밀폐하기 위해 기본 구조물인 벽체를 대체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고, 천장높이보다 낮아서 두 공간을 분리하지 않고 가구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할수도 있으며, 고정식이나 이동식 모두 적용가능하다. 변화하는 실내 공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 간편하게 재구성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페인팅 작업과 같은 습식작업 없는 마감이 가능하다. 이미 마감재가 부착되있는 제품을 사용해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동이 가능하며 재활용하기 위해 분해가 간편하다. 바닥 및 천정의 레벨 오차를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맞출 수 있다. 보안이 제한적일 수.. 2021. 5. 22. 인테리어 디테일 3G 공간분할- 벽체 07 벽체 형식 나눠진 벽체 - 기본 형식은 온전한 하나의 벽체를 나눠서 여러개의 개별 표면을 일렬로 또는 엇갈린 패턴으로 배치하거나 나눠진 어느 하나의 벽체파트에 각도를 줘서 포인트로 살릴 수도 있다. 또한, 나눠진 벽체 사이로 새어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간격을 좁히거나 늘리면서 변화를 줄수도 있으며, 나눠진 벽체의 가장자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디테일이 필요한데, 여기서 가장자리를 보강하기 위해 단단한 재료를 덧대어 보강하거나, 기존 표면과 일치시키기 위해 보강재를 숨기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선반 벽체 - 벽체에 선반 기능을 하는 방식은 벽체에 선반을 노출시켜 매다는 방식과 별도의 선반 벽체를 만드는 방식으로 나눠볼 수 있다. 선반을 노출시켜 매다는 방식은 기존 바탕벽이 선반의 무게를 지탱해.. 2021. 5. 22. 인테리어 디테일 3F 공간분할- 벽체 06 개구부가 있는 벽 유리창이 있는 벽체 유리는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목재 프레임에 고정되거나 프레임 없는 벽체일부에 홈을 파내서 유리를 고정해서 프레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리의 두께는 디자인 컨셉, 벽체 크기 및 방음 수준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며 실내 칸막이에 유리창을 만드는 경우는 외벽창문과 달리 개폐없이 유리만 설치해 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유리를 고정하는 시스템의 디테일이 매우 중요하다. 프레임 노출형 타입은 유리를 끼울때 주로 장식몰딩을 이용 해서 유리를 고정하고, 프레임 은폐형 타입은 유리홈을 미리 만들어 놓고 유리를 나중에 끼우는 타입으로 유리홈은 유리를 끼울 때 들었다가 내려놓을 수 있는 여유있는 깊이와 넓이를 고려해야 한다. 도어 가 있는 벽체 도어는 유리창과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목.. 2021. 5. 21. 인테리어 디테일 3E 공간분할- 벽체 05 벽체 판넬 패턴 판넬화하는 목적은 재료의 규모를 줄여서 시공을 더 쉽게 만들고, 마감 면의 일부분을 다른 재료로 마감하거나 더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재료를 수직이나 수평의 패턴으로 나눠서 시공하기 위함이다. 마감된 표면은 별도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눈 패턴에 창문이나 출입문을 맞춰넣을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된 패널은 동일한 평면에 맞추거나, 높낮이를 달리해서 원하는 깊이와 입체감에 따라서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수평패턴 수직패턴 기타패턴 2021. 5. 20. 이전 1 2 3 4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