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54 화재안전시스템 Q. 화재 안전 시스템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나요? A. 화재 안전 시스템은 실제 발생 순서에 따라서 화재탐지시스템, 화재진압시스템, 대피시스템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화재를 감지하는 탐지 시스템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연 감지기와 열감지기가 있고, 화재를 감지하면 거의 동시에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시스템인 스프링 쿨러나 자동 확산 소화기가 동작하면서 동시에 화재를 알리는 화재 경보 알람 시스템이 작동하고, 다음 단계로 화재시 전력이 차단되 있는 어두운 상태에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인 정해진 구역의 비상 램프와 탈출해야 하는 비상구를 알려주는 유도등이 있으며, 비상구를 통해 안전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 사다리와 완강기가 있습니다. 2020. 8. 14. 전기 시스템 Q. 직류전류와 교류전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직류DC 전류는 전류가 한방향으로 흐르며 크기가 변하지 않는 전류를 말하며, 발전기, 자동차와 같은 기계들과 LED와 같은 저 전압 조명들과 같이 양극과 음극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전류 방식이며, 교류 AC전류 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가전 제품이 바로 교류 전류입니다. 교류 전류는 양극과 음극의 방향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콘센트도 양극과 음극의 구분이 따로 없어서 감전 사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020. 8. 14. 배관시스템 Q. 욕실 배수구에서 안 좋은 냄새가 계속 나는데, 무엇이 문제인가요? A. 수도의 하수 배관은 생활 하수를 내보내는 배관과 배설물과 같은 오염수를 내보내는 오수 배관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야 하는데, 간혹 배수 배관이 하나로 묶여 있는 경우 생활 하수 배관의 트랩에 고여 있는 물이 말라버리거나 트랩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하수 배관을 통해 냄새가 올라오는 경우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근본적인 하수배관과 오수배관이 필히 분리되어 있어야 하고, 배수구의 트랩에 적절하게 물이 남아 있는지 와 통기관 처리도 뚫려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위생 기구의 배수 호스와 배수구에 꽂힌 부분의 밀봉상태도 체크해 봐야 할 것입니다. 2020. 8. 14. 실내 공기질 Q. 새집증후군의 효과적인 대책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새집 증후군을 없애고 실내 공기질을 높이는 근본 대책에는 실내 공간에서 공기질을 더럽히는 오염원을 찾아내는 게 첫번째이며, 찾아낸 해당 오염원을 물리적이거나 화학적인 방법으로 흡착 또는 정화해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염원을 특정할 수 없이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증발시키거나 공기 정화장치를 이용해서 정화하거나 실내 공기질에 도움이 되는 실내 조경을 적절히 배치하고 주기적인 자연 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낮추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2020. 8. 14. 이전 1 2 3 4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