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내환경7

화재안전시스템 Q. 화재 안전 시스템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나요? A. 화재 안전 시스템은 실제 발생 순서에 따라서 화재탐지시스템, 화재진압시스템, 대피시스템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화재를 감지하는 탐지 시스템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연 감지기와 열감지기가 있고, 화재를 감지하면 거의 동시에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시스템인 스프링 쿨러나 자동 확산 소화기가 동작하면서 동시에 화재를 알리는 화재 경보 알람 시스템이 작동하고, 다음 단계로 화재시 전력이 차단되 있는 어두운 상태에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인 정해진 구역의 비상 램프와 탈출해야 하는 비상구를 알려주는 유도등이 있으며, 비상구를 통해 안전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 사다리와 완강기가 있습니다. 2020. 8. 14.
전기 시스템 Q. 직류전류와 교류전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직류DC 전류는 전류가 한방향으로 흐르며 크기가 변하지 않는 전류를 말하며, 발전기, 자동차와 같은 기계들과 LED와 같은 저 전압 조명들과 같이 양극과 음극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전류 방식이며, 교류 AC전류 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가전 제품이 바로 교류 전류입니다. 교류 전류는 양극과 음극의 방향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콘센트도 양극과 음극의 구분이 따로 없어서 감전 사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020. 8. 14.
실내 공기질 Q. 새집증후군의 효과적인 대책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새집 증후군을 없애고 실내 공기질을 높이는 근본 대책에는 실내 공간에서 공기질을 더럽히는 오염원을 찾아내는 게 첫번째이며, 찾아낸 해당 오염원을 물리적이거나 화학적인 방법으로 흡착 또는 정화해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염원을 특정할 수 없이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여서 증발시키거나 공기 정화장치를 이용해서 정화하거나 실내 공기질에 도움이 되는 실내 조경을 적절히 배치하고 주기적인 자연 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낮추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2020. 8. 14.
냉방과 난방 Q. 집이 추워서 아무리 난방을 해도 난방비만 많이 나오고, 따뜻하지 않아요. 어떤 계획을 세워야 할까요? A. 공간을 덥히거나 시원하게 할 때 가장 중요한 기본 조건은 열 손실입니다. 열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며 열 손실을 최소화한다는 것은 실내 공간에서 외부로 열 에너지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야 여름에는 실내에 있는 열에너지를 외부로 뺴내거나 겨울에는 실내에 열에너지를 더하면 그 실내 상태를 최대한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실내 공간에서의 열 손실은 보통 단열이 잘 안되는 출입문이나 창문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많이 발생하며 출입문이나 창문과 벽체의 경계면을 통해서도 열 손실이 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점검해 보고 열 손실이 발생하는 부분을 찾아서 .. 2020.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