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내환경7

방음 Q. 효과적인 방음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A. 소리는 빛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빛이 닿으면 소리가 전달되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빛이 닿지 않으면 소리가 없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방음이라는 것은 소리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소리를 전달하지 않고 사라지게 하는 방법은 크게 나눠서 보면 소리를 흡수해서 사라지게 하는 흡음 방법과 소리를 차단해서 전달이 되지 않게 하는 차음 방법으로 볼 수 있고, 이 두가지 방법을 합해서 보통 방음이라고 합니다. 소리가 어느 물체에 부딪쳐 흡수되는 것과 부딪쳐 반사되는 것은 전혀 다른 원리이며, 소리가 닿는 표면의 소재를 다공성의 흡음 재료로 사용하면 소리가 닿는 순간 흡수될 것이며, 밀도가 높은 단단한 재료.. 2020. 8. 14.
단열 Q. 집이 눅눅하고 벽에 곰팡이가 잘 생기는데, 무엇이 문제인가요? A. 습기가 많은 습한 환경조건에서 곰팡이가 잘 생기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쾌적한 환경의 바탕이 되는 요소가 실내 공간을 외부 기온으로부터 간섭 받지 않을 수 있는 단열 구조가 잘 구성되어 있어야 하며, 제대로 된 단열을 하기 위해서는 열에너지의 전달방식과 특성을 알아야 하고, 제대로 된 단열 구조와 더불어 습기의 이동과 환기에 대한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제습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제습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2020. 8. 14.
실내환경 Q. 실내 환경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A. 종종 건물을 인간의 신체에 비유를 하기도 합니다. 인체를 크게 나눠 인체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골격계와 인체를 실제 움직이게 하는 순환계로 나눠본다면, 인체의 뼈와 근육에 해당하는 골격계는 건물에서는 기둥과 바닥으로 볼 수 있으며, 인체의 혈관, 호흡기관, 소화기관 등의 순환계에 해당하는 것은 건물에서는 혈관에 해당하는 전기 배관, 호흡기관에 해당하는 공기조화 설비배관, 소화기관에 해당하는 상, 하수도 배관일 것입니다. 실내 공간에서 인간이 숨쉬고, 생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공급하는 모든 환경적인 요소가 바로 순환계에 해당하는 전기, 공조, 수도설비, 통신 시스템이며 위에 말한 것처럼 실내 공간을 바라볼 때 인체에 대비해서 골격계와 순환계로 나눠서 .. 2020.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