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인테리어14 싱크대 상판 Q. 주방 싱크대 상판이 녹았어요. 너무 뜨거운 냄비를 아무 생각없이 올려 놓다 보니 녹아서 벗겨지고 벗겨진 곳에 때가 끼고 해서 수리를 하고 싶은데, 수리는 어떻게 할 수 있을 까요? A. 싱크대 상판은 쉽게 말해 인공재질과 천연재질로 나눠집니다. 가장 흔하게 설치되고 있는 인조대리석도 인공 재질이며, 인공재질의 상판의 주요한 원료는 플라스틱이고, 천연 재질인 천연 대리석, 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은 재료물성이 가지고 있는 특성 그 자체입니다. 천연재질과 인공재질의 사용상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하면 훼손에 대한 보수 방식인데, 천연재질은 대부분 상판 자체가 원재료 그대로이기 때문에 훼손된 부분을 갈아내도 재료 그 자체의 물성이 드러나지만, 인공재질은 보통 코팅이 되어 있는 재질이라서 표면.. 2020. 5. 10. 싱크대 Q. 이사할 집에 주방 가구가 너무 불편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전부 교체하긴 부담이 되고, 수납장만 어떻게 개조할 수 없을까요? A. 주방가구는 가구를 만드는 원재료의 크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원재료를 재단해서 버려지는 손실없이 최대한 규격화해서 만들다 보니 거의 규격이 비슷해서 기존 가구의 문짝만 교체해도 분위기가 달라지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여닫이 문짝을 떼어내고 서랍형태로 만들기도 하며, 가구속에 회전선반이나 슬라이딩 레일 같은 시스템 하드웨어를 장착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납방식과 가구를 작동하는 방식에 변화를 줘도 사용하기 편해질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보는 것도 방법일 것입니다. 2020. 5. 10. 싱크대 마감재료 Q. 석재 같은 매우 견고하고, 고급스러운 재료를 좋아하지만, 주방에서 사용할 때 생활 오염이 걱정됩니다. 주방에서 사용할 때 생활 오염에 대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석재를 사용할 수 있는 요소를 보면 첫 번째 요소는 하부장 상판입니다. 하부장 상판에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마감 처리된 라임스톤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요소는 주방 벽면으로 하부장 상판의 재료 또는 대조되는 재료를 사용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생활 오염에 대비하기에는 슬레이트 소재가 오염이 잘 나타나지 않고 미끄럼 방지하며 중성 색상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특히 실용적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대리석 상판과 같은 독특한 것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 2020. 5. 10. 주방디자인 Q. 원룸으로 이사를 했는데, 너무 방크기에 비해서 주방 싱크대가 너무 커서 답답합니다. 방안이 넓어 보이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A. 공간을 넓게 보이게 하는 방법은 구조적으로 실제 불필요해 보이는 요소를 없애는 방법과 색상이나 크기, 위치를 조정하거나, 재질을 바꿔서 심리적으로 답답함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나눠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싱크대에서 쓸모 없거나 비효율적인 부분을 찾아내서 비우기만 해도 공간에 여유가 생길 것이며, 그에 더해서 색상을 조금 더 밝은 색상이나 밝은 소재의 마감재료로 교체하고, 조명을 밝게 한다면 좁은 공간에서 느껴지는 답답함이 어느 정도는 해소될 것입니다. 2020. 5. 1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