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1

주방디자인 Q. 원룸으로 이사를 했는데, 너무 방크기에 비해서 주방 싱크대가 너무 커서 답답합니다. 방안이 넓어 보이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A. 공간을 넓게 보이게 하는 방법은 구조적으로 실제 불필요해 보이는 요소를 없애는 방법과 색상이나 크기, 위치를 조정하거나, 재질을 바꿔서 심리적으로 답답함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나눠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싱크대에서 쓸모 없거나 비효율적인 부분을 찾아내서 비우기만 해도 공간에 여유가 생길 것이며, 그에 더해서 색상을 조금 더 밝은 색상이나 밝은 소재의 마감재료로 교체하고, 조명을 밝게 한다면 좁은 공간에서 느껴지는 답답함이 어느 정도는 해소될 것입니다. 2020. 5. 10.
주방배치 Q. 주방이 너무 작아서 싱크대 조리 공간이 충분하지 않고, 저장 공간도 너무 적어요.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 보니 물건들을 전부 상판 위로 올려 놓게 되고, 그러다 보니 더욱 공간이 좁아졌어요. A. 작은 주방을 가지고 있을 때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다음을 참고하세요. 주방 벽체를 상부 수납 공간이나 가능하다면 바닥부터 천장까지 일체형 키 큰 수납장형태로 구성해서 수납공간을 확보합니다. 하부 수납공간은 뒤쪽에 있는 잘 사용하지 않는 물건이 자리만 차지하고 있을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서랍 형태로 하거나 모서리에 회전 선반을 설치하여 공간을 더욱 극대화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회전 선반은 중소형 가전제품의 보관에 사용할 수 있으며, 가능하면 가전제품을 싱크대 상판 위에 두지 않는 것이 공간 활용면에서.. 2020. 5. 10.
주방계획 Q. 주방 가구들이 너무 오래되고 해서 이번에 주방 인테리어 작업을 직접 해보려고 생각 중이에요.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을까요? A. 주방 인테리어 작업을 하려고 계획할 때 단계별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단계. 주어진 공간안에서 실제 자신이 주방을 사용하는 방법을 시간 흐름에 따라서 머릿속에 그려봅니다.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할 집기와 가구의 정보들을 모읍니다. 실제 주방 공간 안에 배치해봅니다. 두번째 단계. 자리를 잡은 집기와 가구에 필요한 전기 콘센트와 조명, 그리고 수도설비 위치들을 확인합니다. 해당 위치와 조건에 맞게 설치해줍니다. 세번째 단계. 원하는 디자인 스타일을 검색합니다. 그에 맞는 색상이나 재료들을 파악합니다. 하부장과 상부장, 하부장 상판, 주방 벽체에 적용합니다. 2020.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