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재 공간을 리노베이션 하려는 계획이 미래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확장 할 수 있는 계획인지 아니면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더 큰 전체 계획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 고려한다. 프로젝트를 결합할수록 일반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변화시켜야 하고, 사용 가능한 면적을 창의적으로 재배치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진다.
쓸때없이 크거나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세분화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공간으로 재배치한다. 아마도 집안에서 가장 탄력적인 공간은 거실일 것이다. 거실은 필요한 것보다 더 넓고, 더 효율적인 입구를 위해 약간의 공간을 현관으로 편입시킬 수도 있고, 주방 리노베이션의 일환으로 주방 옆에 필요한 보조 공간으로 할당할 수 있다.
2.
공용 영역과 개인 영역 사이에 명확히 구획이 가능한 통로 계획을 하여야 한다. 사적인 공간에 대한 개구부가 공동 공간으로 이어지는 공간과 중첩되어서는 안되며, 공간의 중앙을 통과하지 않고 가장자리를 따라 통로를 배치하여 공간안에서 가구의 그룹배치를 위한 공간 형태를 유지한다.
통로는 길이가 길수록 깊이를 상쇄할 수 있게 폭이 더 넓어야 하며, 더 밝아야 한다.
3.
표면 마감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리모델링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철거하기 이전에 표면을 재생할 수 있는 방안을 먼저 고려하면 프로젝트의 비용과 낭비가 줄어들 수 있다.
4.
경사지거나 구석진 공간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계획한다. 계단 밑, 창문 밑, 구석 코너, 모서리 , 키큰 수납장 위 천장사이 공간, 애매하게 떠있는 집기 밑처럼 주변에 버려진 공간들은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테일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디테일 0B 안전을 위한 디테일 (0) | 2021.05.16 |
---|---|
인테리어 디테일 0A 디테일 기초정보 (0) | 2021.05.15 |
인테리어 디테일 1C 숨기는 디테일 C (0) | 2021.05.14 |
인테리어 디테일 1B 숨기는 디테일 B (0) | 2021.05.14 |
인테리어 디테일 1A 숨기는 디테일 A (0) | 2021.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