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공간의 용도를 고려한 색채계획
주거용인지, 상업용인지에 따라서 다르게 계획할 수 있습니다. 주거공간이라면, 가족안에서의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거실과 같은 공적인 공간은 누구나 편하게 인지하는 중간 색조인 아이보리 ivory, 베이지 beige, 따뜻한 회색warm-gray계열의 색상위주로 배경 색상을 계획하고, 포인트 색상은 한 톤 어두운 색상으로 계획하고, 브라운 brown, 카키khaki, 그레이 gray 계열의 색상을 주로 사용하며, 침실과 같은 사적인 공간은 거실보다는 각자의 개성적인 색상과 거주자의 취향에 맞도록 무난한 중간 색조부터 파스텔 색조까지 다양하게 계획할 수 있습니다. 상업공간에서는 유행하고 있는 트렌드 색상을 해당 업종에서 강조하려고 하는 스타일에 적용시켜서 아트 월이나 주제가 되는 부위에 사용하고, 그 주제색에 어울릴만한 유사색상으로 바탕색을 계획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B. 인테리어 마감재를 고려한 색채계획
주거공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벽체 마감재인 벽지의 색상을 결정할 때 먼저 고려해야 할 대상은 목재 바닥 마루일 것입니다. 목재 바닥 마감재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메이플 maple, 오크 oak, 티크 teak, 월넛 walnut 등의 바닥 마루의 원목 컬러 톤이 자연스러운 중간 색조들이기 때문에 그에 어울리는 벽지 색상은 대부분 미색off-white, 아이보리ivory, 베이지beige계열이며 과감하게 스타일에 변화를 준다면, 몰딩이나, 가구등을 트렌드에 맞는 형태와 색상으로 하고 벽면에 원색 계열이나 파스텔 계열의 색상을 과감하게 시도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C. 스타일을 고려한 색채계획
스타일은 실제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는데, 연령대에 따라 무게감이 있는 분위기를 위해 같은 색상이라도 톤을 다운시켜서 무겁고 부드러운 컬러 톤을 시도하거나, 반대로 젊은 세대인 경우 캐쥬얼하고 채도가 살아있는 강렬하거나 부드러운 컬러 톤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엣지가 살아있는 도시적인 스타일에서 편안한 내츄럴 스타일까지 다양한 스타일에서 원하는 스타일을 고르고, 해당 스타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컬러를 적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인테리어 색채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분위기 연출을 위한 안전한 색상 선택하기 (0) | 2021.02.06 |
---|---|
인테리어 컬러계획 02 색상 조합 (0) | 2021.02.06 |
블루 Blue (0) | 2021.02.05 |
파스텔 Pastel (0) | 2021.02.05 |
그린 Green (0) | 2021.02.05 |